본문 바로가기
건축

한옥과 아프리카 '누바 하우스(Nubian House)’

by sun-cat-blog 2025. 1. 22.

 

 아프리카의 전통 건축물 중 하나인 누바 하우스(Nubian House)’는 수단과 이집트 지역에 위치한 누비아(Nubia) 사람들의 독창적인 건축 양식입니다.

 이 건축물은 사막 기후에 적응하여 진흙과 자연 재료를 활용해 지어졌으며, 독특한 형태와 실용적인 설계로 유명합니다. 누바 하우스는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문화와 전통, 그리고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반영한 건축물입니다.

 이 글에서는 누바 하우스의 주요 특징과 설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건축물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누바 하우스(Nubian House)의 정의와 역사

누바 하우스는 아프리카 북동부의 누비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가옥으로, 진흙 벽과 돔형 지붕이 특징인 건축 양식입니다. 이 집은 뜨거운 사막 기후에서 시원한 내부 환경을 유지하며,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료로 지어집니다.

 

누바 하우스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와 누비아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건축물은 누비아 사람들의 독특한 생활 방식과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발전했으며, 오늘날까지도 누비아 지역에서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문화적 의미: 누바 하우스는 누비아 사람들의 정체성과 공동체 정신을 상징합니다.

* 환경과의 조화: 사막 기후에 적응하면서도 주변 환경과 완벽히 어우러지는 지속 가능한 건축물로 설계되었습니다.

 

누바 하우스의 구조와 특징

1. 재료와 건축 방식

누바 하우스는 주로 진흙, 모래, 지푸라기와 같은 자연 재료를 활용해 건축됩니다.

두꺼운 진흙 벽은 내부 온도를 유지하고 외부의 뜨거운 열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돔형 지붕은 햇빛을 반사하고 내부 공간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건축 과정에서는 지푸라기와 섬유를 활용하여 벽을 보강하거나 단열 효과를 높이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2. 기후 적응형 설계

누바 하우스는 사막의 뜨거운 열기를 차단하고 시원한 내부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두꺼운 진흙 벽과 작은 창문은 태양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돔형 지붕은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열을 위로 상승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더운 날씨에서도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진흙과 섬유를 혼합한 재료는 강수 후에도 빠르게 건조되어 열대성 우기에 적합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외형적 특징과 장식

누바 하우스는 심미적 요소를 포함한 독특한 외형을 자랑합니다.

 곡선 형태의 돔형 지붕이 외형적 특징을 이루며, 이는 사막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시각적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 벽면에는 종교적 상징, 기하학적 문양, 문화적 아이콘들이 새겨지거나 색칠되어 장식적인 요소를 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창문과 문은 외부 열기와 모래바람을 차단하기 위해 작고 단순한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

 

4. 내부 공간 구성

누바 하우스 내부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단순하지만 실용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공용공간으로는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실이 중심에 배치됩니다. 침실은 사생활 보호를 위해 공용 공간과 분리되어 있습니다. 내부 공간은 종종 다목적으로 사용되며, 곡물을 저장하거나 작업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설계는 누비아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기후적 요구를 반영했습니다.

 

누바 하우스와 한옥의 공통점

1. 자연 친화적 설계

누바 하우스와 한옥은 모두 자연 재료를 활용해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 누바 하우스: 진흙, 지푸라기, 모래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

* 한옥: 나무, , 기와, 한지를 사용해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

 

2. 기후 적응형 건축

두 건축물 모두 각 지역의 기후에 맞춘 설계를 통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 누바 하우스: 두꺼운 진흙 벽과 돔형 지붕으로 사막의 뜨거운 열기를 차단.

* 한옥: 온돌과 대청마루로 여름의 더위를 식히고, 겨울의 추위를 막음.

 

3. 가족 중심의 공간 설계

누바 하우스와 한옥 모두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누바 하우스: 거실과 침실을 단순하게 배치해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

* 한옥: 안채와 사랑채를 구분하며, 가족 중심의 생활을 강조.

 

4. 심미성과 전통적 장식

두 건축물은 장식 요소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 누바 하우스: 벽면에 기하학적 문양과 종교적 상징을 새겨 독창성을 강조.

* 한옥: 처마의 곡선미와 자연스러운 목재 무늬를 활용해 전통미를 강조.

 

누바 하우스와 한옥의 차이점

1. 재료의 차이

* 누바 하우스: 진흙, 모래, 지푸라기 등 사막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사용.

* 한옥: 나무, 기와, 흙 등 한국의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재료 사용.

 

2. 기후 적응 방식

* 누바 하우스: 두꺼운 진흙 벽과 돔형 지붕으로 사막 기후에 적응.

* 한옥: 온돌과 대청마루를 통해 사계절 기후에 적응.

 

3. 공간 규모와 배치

* 누바 하우스: 간단하고 소규모의 공간 배치.

* 한옥: 사랑채, 안채, 별채 등 다양한 공간으로 나뉨.

 

누바 하우스와 비슷한 한국 전통 건축물

누바 하우스는 한국의 초가집과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초가집은 나무와 짚을 사용해 지붕을 덮고, 흙으로 벽을 쌓아 자연 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점에서 누바 하우스와 유사합니다. 또한, 초가집은 여름철 시원함을 유지하고 겨울철 보온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두 건축물 모두 단순하고 소박한 형태이지만, 기후와 환경에 맞는 지혜로운 설계 철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 양식입니다.

 

 

한옥과 아프리카 '누바 하우스(Nubian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