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한옥과 부탄의 '종(Dzong)'

by sun-cat-blog 2025. 1. 21.

 

  부탄은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한 작은 왕국으로,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알려져 있으며, 자연과 전통문화를 중시하는 나라입니다.

 부탄의 전통 건축물인 (Dzong)’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부탄의 종교적, 행정적, 군사적 중심 역할을 하는 다기능 건축물로, 그 자체로 부탄의 문화와 역사를 상징합니다. 종은 보통 전략적으로 중요한 산비탈이나 강가에 위치하며,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요새로서의 역할과 함께 불교 신앙을 실천하는 수도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부탄의 종의 구조와 특징을 상세히 살펴보고, 한옥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종(Dzong)의 정의와 역사

 종은 부탄 전역에서 발견되는 대규모의 전통 건축물로, 종교적 수도원과 행정적 중심지가 결합한 형태입니다. ""은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요새" 또는 "요새형 수도원"을 의미합니다.

 

 종은 17세기 초 부탄의 통일자이자 불교 지도자인 샤브룽 응아왕 남걀(Shabdrung Ngawang Namgyal)에 의해 처음 세워졌습니다. 그는 부탄을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보호하고, 지역 간의 단합을 강화하기 위해 종을 설계하고 건축했습니다.

* 군사적 목적: 초기에는 국경을 방어하는 요새로 사용되었습니다.

* 종교적 목적: 불교 수도원으로서 수행자들이 머물고 종교의식을 행하는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 행정적 역할: 지역 행정 및 관료들의 중심지로서, 부탄의 통치 체계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종의 구조와 특징

종은 보통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에 위치합니다. 산비탈, 강가, 또는 계곡 위에 지어져 외부의 침입을 감시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 지형 활용: 자연 지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외부의 공격을 막는 동시에, 건물의 위엄과 상징성을 극대화했습니다.

* 중심성: 종은 지역 공동체의 중심지로 기능하며, 종교적, 사회적 활동이 모두 이곳에서 이루어졌습니다.

 

[ 중앙 마당(코르톰) ]

종의 중심에는 넓은 마당인 코르톰(Korthom)’이 있습니다.

* 용도: 종교의식, 축제, 그리고 사회적 모임이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 공간의 상징성: 마당은 종교적 수행자와 행정 관료들이 교류하며,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재료와 건축 기술 ]

종은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졌습니다.

* : 두꺼운 흙벽과 돌벽은 건물을 튼튼하고 내구성 있게 만들어 외부 공격과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했습니다.

* 목재: 내부의 기둥과 천장은 주로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섬세한 조각과 불교적 문양으로 장식되었습니다.

* 지붕: 경사진 목조 지붕은 강수량이 많은 부탄의 기후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탑 모양의 꼭대기는 건축물의 상징성을 더했습니다.

 

[ 구조적 특징 ]

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우첸(Utse): 종의 중앙에 위치한 탑으로, 가장 중요한 종교적, 상징적인 공간입니다.

* 관청과 수도원: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관청과 불교 승려들이 머무는 수도원이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 방어 시설: 두꺼운 벽과 높은 탑, 좁은 출입구 등은 방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종과 한옥의 공통점

1.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설계 철학

* : 산과 계곡, 강가와 같은 자연 지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을 세웠으며, 지역 재료를 사용해 환경친화적 건축물을 만들었습니다.

* 한옥: 지형에 따라 집을 배치하고, 자연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창호와 대청마루를 설계했습니다.

 

2. 중앙 마당 중심의 구조

* : 중앙의 코르톰은 공동체 활동과 종교의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습니다.

* 한옥: 마당은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생활하고, 외부 자연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3. 공동체 중심의 공간 설계

* : 종은 지역 공동체의 종교적, 행정적 중심지로서 주민들이 모이는 장소였습니다.

* 한옥: 안채와 사랑채로 나뉜 한옥은 가족 중심의 생활 공간을 강조했으며, 대청마루는 구성원 간 소통의 장이 되었습니다.

 

4. 기후 적응형 건축

* : 두꺼운 흙벽과 경사진 지붕은 비와 추위를 막고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 한옥: 온돌과 넓은 처마는 겨울의 추위를 막고 여름의 더위를 식히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종과 한옥의 차이점

1. 기능적 차이

* : 종은 종교적, 행정적, 군사적 기능을 결합한 다목적 건축물로, 개인의 거주보다는 공동체의 목적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 한옥: 한옥은 가족 중심의 주거 공간으로, 일상적인 생활과 실용성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2. 건축 재료

* : 흙과 돌로 이루어진 튼튼한 외벽과 목재로 장식된 내부 구조를 특징으로 합니다.

* 한옥: 목재, , 기와와 같은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더 따뜻하고 소박한 느낌을 줍니다.

 

3. 건축 규모

* : 대규모 건축물로, 요새형 설계와 탑 구조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방어를 중시했습니다.

* 한옥: 단층 구조가 대부분이며, 인간의 일상적 생활에 초점을 맞춘 소규모 건축물입니다.

한옥과 부탄의 '종(Dzong)'

 

 

그럼, 우리나라의 건축물 중 부탄의 (Dzong)’과 비슷한 건축물에 대해 알아보며 포스팅 마무리해 보겠습니다.

 

 ‘(Dzong)’은 종교적, 행정적, 군사적 기능을 결합한 다목적 건축물로, 한국의 전통 건축물 중에서는 궁궐이나 사찰이 그 기능과 역할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부탄의 종이 지역 공동체의 중심으로 종교의식과 행정 업무를 수행했던 것처럼, 한국의 궁궐은 왕과 관료들이 나라를 다스리던 행정적 중심지였으며, 종교적 제례나 의식도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종은 요새와 같은 방어적 역할도 가졌는데, 이는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한국의 산성(山城)’과 기능적으로 비슷합니다.

 

각각 다른 지역에서 만들어진 건축물임에도, 비슷한 면이 있다는 점을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