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인도의 '하벨리(Haveli)'와 우리나라 한옥

by sun-cat-blog 2025. 1. 21.

 

 ‘하벨리(Haveli)’는 인도의 전통 건축 양식 중 하나로, 주로 라자스탄(Rajasthan) 지역과 북인도에서 발견되는 전통 가옥 형태입니다. 하벨리는 단순히 주거 공간에 그치지 않고, 가족의 위상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 건축물로 기능했습니다. 이 건축물은 화려한 석재 조각, 대칭적인 구조,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인도 전통 건축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한국의 전통 건축물인 한옥과 비교했을 때, 자연 친화적 설계 철학, 가족 중심의 공간 구성, 그리고 실용적 설계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벨리의 구조와 특징을 깊이 탐구하고, 한옥과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하벨리의 정의와 역사

 하벨리는 인도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대저택 형태의 전통 건축물로, 부유한 상인, 귀족, 또는 지주들이 거주했던 주택입니다. "하벨리"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하와(हवा, Hawa)", "바람"에서 유래했으며, 자연 환기와 통풍을 강조한 설계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습니다.

 

 하벨리는 주로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무굴 제국과 라지푸트 왕국의 영향 아래 발전했습니다. 이 시기의 건축물은 무슬림과 힌두 건축 양식이 혼합된 형태로, 화려한 조각과 대칭적 배치, 정원을 포함한 설계가 특징입니다.

* 경제적 역할: 하벨리는 부유한 상인 계층이 거주하며 상업 및 사회적 활동의 중심지로 사용되었습니다.

* 문화적 중요성: 하벨리는 가족 구성원뿐만 아니라 방문객과 이웃이 모여 다양한 의식과 축제를 치르는 공간으로도 활용되었습니다.

 

하벨리의 구조와 특징

1. 대칭적 배치와 마당 중심 설계

하벨리는 일반적으로 건물 중앙에 중정(마당)’을 두고 그 주변으로 방과 복도를 배치하는 대칭적 구조를 가집니다.

하벨리의 마당은 가족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심 공간으로, 자연 환기와 채광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하벨리 내부는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으로 명확히 구분되며, 남성과 여성의 생활 공간이 구분된 경우도 많습니다.

 

2. 화려한 장식과 조각

하벨리는 외벽과 내부에 정교하고 화려한 조각과 문양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 외벽 장식: 동물, 식물, 신화적 요소를 묘사한 섬세한 석재 조각과 타일로 꾸몄습니다.

* 문과 창문: 나무로 된 문과 창문은 정교한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환기와 채광을 돕습니다.

* 발코니와 아치: 곡선형 아치와 발코니는 하벨리의 우아함을 강조하는 건축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3. 재료와 건축 기법

* 석재: 하벨리는 주로 사암, 대리석, 석회암과 같은 지역 재료로 건축되어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 기후 적응: 두꺼운 벽과 작은 창문은 뜨거운 태양을 차단하고 내부를 시원하게 유지합니다.

* 천장 높이: 높은 천장은 내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열대 기후에 적합합니다.

 

4. 공공성과 사적 공간의 균형

하벨리는 외부와 내부를 명확히 구분하는 공간 설계로 유명합니다. 외부 공간은 방문객을 맞이하거나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적인 공간으로 사용되고, 내부 공간은 가족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5. 옥상과 테라스

하벨리의 옥상은 가족 구성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밤에 별을 감상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한옥의 처마 아래 대청마루와 유사하게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하벨리와 한옥의 공통점

하벨리와 한옥은 서로 다른 지역과 문화에서 발전했지만,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설계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벨리는 중앙의 마당과 작은 창문, 두꺼운 벽을 통해 자연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하며, 한옥 역시 대청마루와 창호를 통해 자연스러운 공기 순환과 외부와의 소통을 강조합니다.

두 건축물 모두 가족 중심의 생활 공간을 중시한다는 점도 유사합니다. 하벨리는 마당을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이 함께 생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한옥은 안채와 사랑채로 공간을 나누어 가족의 역할과 생활을 분리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두 건축물은 기후에 적응한 설계를 통해 실용성을 극대화했습니다. 하벨리는 더운 기후를 고려해 높은 천장과 두꺼운 벽, 작은 창문으로 더위를 막는 반면, 한옥은 온돌 난방과 넓은 처마를 통해 사계절의 기후 변화에 대응합니다.

마지막으로, 두 건축물 모두 아름다움을 중시하며 독창적인 미적 가치를 제공합니다. 하벨리는 화려한 석재 조각과 문양으로 외형을 장식하고, 한옥은 기와지붕의 곡선미와 목재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통해 소박하면서도 우아한 미를 강조합니다.

 

하벨리와 한옥의 차이점

1. 재료의 차이

* 하벨리: 주로 석재와 대리석을 사용하여 견고하고 화려한 외관을 만들었습니다.

* 한옥: 나무, , 기와 등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따뜻하고 소박한 느낌을 강조합니다.

 

2. 기후 적응 방식

* 하벨리: 더운 기후에 맞춘 두꺼운 벽과 작은 창문 설계했습니다.

* 한옥: 온돌과 넓은 처마로 겨울 추위와 여름 더위를 모두 해결했습니다.

 

3. 공간의 대칭성

* 하벨리: 대칭적이고 구조화된 설계가 특징이 있습니다.

* 한옥: 자연 지형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계되며, 비대칭적 배치가 일반적입니다.

 

4. 사회적 역할

* 하벨리: 상업 활동과 외부 방문객을 위한 공적인 역할 강조했습니다.

* 한옥: 가족 중심의 일상생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정리를 해보면, 하벨리는 인도의 전통 건축 양식을 대표하며, 화려한 장식과 대칭적 구조, 기후 적응 설계를 통해 독특한 미적·실용적 가치를 보여줍니다. 한국의 한옥과 하벨리는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적 배경에서 발전했지만, 자연과의 조화, 가족 중심의 공간 설계, 그리고 실용성을 중시한다는 공통된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벨리와 한옥은 각각의 전통적 가치와 건축 철학을 통해 현대 건축에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인도의 '하벨리(Haveli)'와 우리나라 한옥